-
개정 된 상속세 면제한도액과 세율 계산기로 확인해 보기↘ 일반생활 2025. 2. 9. 18:54반응형
상속세 계산기
상속세는 상속을 받는 사람이 상속받은 재산에 대해 내야 하는 세금입니다.
상속세의 계산은 상속 재산의 가치와 상속세율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복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누구나 손쉽게 상속세 계산기를 통해 자신의 상속세를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속세 계산기는 상속 재산과 부채, 상속인 수 등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상속세를 계산해주기 때문에, 어렵고 복잡한 계산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내 상속세가 궁금하다면? 계산기로 빠르고 간편하게 확인하세요!
혹시, 반대로 상속대신 채무가 남았다면 한정승인과 상속포기 내용을 확인해 불이익을 방지하시길 바랍니다.
상속세란?
상속세는 고인이 남긴 재산을 상속받은 사람에게 부과되는 세금으로, 상속받은 재산이 일정 금액을 초과하면 그에 해당하는 세액을 납부해야 합니다. 상속세는 상속인과 재산의 규모에 따라 달라지며, 상속세 신고를 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기 때문에 신고 기한을 준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상속세 면제한도
[배우자]
배우자에게는 상속세 면세 한도가 최대 5억원입니다. 배우자가 상속받은 자산에 대해서는 면세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직계비속 (자녀 등)]직계비속은 1억원의 면세 한도가 적용됩니다. 자녀나 부모에게 상속되는 경우, 1억원까지는 상속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기타 상속인 (형제자매, 외조부모 등)]형제자매 등에게는 5천만원의 면세 한도가 적용됩니다.
✅ 자세한 상속세 면제한도는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세율 계산기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상속세 계산
[상속 재산의 총액]
상속세 계산을 위해선 상속받은 재산의 총액을 산출해야 합니다. 이 재산에는 현금, 부동산, 주식, 채권 등 모든 자산이 포함됩니다.
[기본 공제 항목]
상속세는 상속 재산의 총액에서 공제 항목을 차감한 후 계산됩니다.
[기본공제]상속인이 배우자인 경우 5억원, 직계비속은 1억원, 기타 상속인은 5천만원까지 면세 한도가 적용됩니다.
[채무 공제]
상속인이 상속 재산을 받을 때 부담해야 할 채무(부채)가 있을 경우, 이 금액도 공제될 수 있습니다.
[특별공제]
장애인 상속인, 미성년자 상속인 등의 경우 특별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세율 적용]
1억원 이하 : 10%
1억원 초과 5억원 이하 : 20%
5억원 초과 10억원 이하 : 30%
10억원 초과 30억원 이하 : 40%
30억원 초과 : 50%
세율은 상속받은 금액에 대해 단계적으로 적용됩니다.✅ 상속세 계산기는 상속받은 재산과 상속인 관계에 맞춰 정확하게 상속세를 예측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상단의 버튼을 눌러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상속세 신고기간 및 불이익
상속세 신고는 상속이 시작된 날인 사망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해야 하며, 이를 초과하면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신고 기한을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개정 된 상속세 면제한도와 세율 계산기를 활용하여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1️⃣ 과태료 부과
신고 기한을 넘기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일반적으로 신고 기한이 지난 후에도 신고를 진행하면, 납부해야 할 세액에 비례해 일정 비율의 과태료가 추가됩니다.
신고 지연에 따른 과태료는 기본 과태료 외에도, 신고 기한을 넘긴 일수에 따라 지연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예를 들어, 신고 기한을 30일 초과하면 일정 비율의 가산세가 추가로 부과될 수 있습니다.
2️⃣ 지연 납부 가산세
상속세는 납부기한까지 납부해야 하며, 기한을 넘기면 지연 납부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지연 가산세는 연 10%로 부과됩니다. 따라서, 신고 기한을 넘기면 그만큼 가산세가 쌓이게 되어 상속세 납부액이 늘어나게 됩니다.
3️⃣ 상속세 추징
신고 기한을 넘기고 나서 세무 당국에서 상속세를 추징할 수 있습니다. 세무 당국이 상속세 신고를 하지 않았음을 인지한 후, 상속세 신고를 요구할 수 있으며, 신고 기한을 넘기면 추징금도 함께 부과될 수 있습니다.
4️⃣ 이자 및 추가 비용
상속세를 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그에 대한 이자도 추가될 수 있습니다. 연체된 기간에 따라 이자가 붙어 상속세 납부 금액이 더 커지게 됩니다.
5️⃣ 상속세 신고 후 수정
만약 신고 기간을 지나서 신고를 하더라도 수정 신고가 가능하지만, 수정 신고를 할 경우에는 수정된 세액에 대해 수정 신고에 따른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6️⃣ 형사적 처벌
상속세 신고를 고의로 하지 않거나 세금을 의도적으로 누락시키는 경우에는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고의적인 탈세나 세금 회피가 드러날 경우, 세무 당국에서 범죄로 간주하고 벌금이나 징역형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 상속세의 자진 신고 및 납부 권장
신고 기한을 넘기지 않도록 미리 준비하고, 기한 내 신고와 납부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자진 신고를 통해 과태료와 가산세를 줄일 수 있으며, 세무 당국과의 협의로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상속세 미신고 대상
[상속 재산이 면세 한도를 넘지 않는 경우]
상속세는 상속받은 재산의 총액이 상속세 면세 한도 이하일 경우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예를 들어, 직계비속(자녀)의 경우 면세 한도가 5천만 원입니다. 상속받은 재산이 이 한도 이하라면 상속세가 부과되지 않아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상속 재산이 부채보다 적거나 없는 경우]
상속인이 상속받은 재산보다 상속받은 부채가 더 클 경우, 상속세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부채가 재산을 초과하여 상속세를 납부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기타 면세 재산]
일부 재산은 상속세 면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농지, 주택 등은 특정 요건을 충족하면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신고가 필요하지 않거나 세액이 크게 줄어듭니다.
[소액의 상속 재산]
상속받은 재산이 소액인 경우, 세무서에서 이를 면세하거나 세금 감면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상속세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상속세 계산 예시
자녀가 5천만 원의 재산을 상속받았을 경우, 상속세 면세한도가 5천만 원이므로 상속세를 납부할 필요가 없습니다.
만약 5천만 원을 초과하는 금액을 상속받았다면, 면세 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 상속세가 부과되며 신고가 필요합니다.
반응형잡지식 연구소.319
반응형'↘ 일반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사기 피해 긴급 생계비 지원금 100만 원 신청하세요! (0) 2025.02.11 두루누리 사회보험 지원금 조회 및 신청방법 (0) 2025.02.10 국가장학금 구간 1, 2 유형 기준과 신청기간 (0) 2025.02.09 부모급여 지급대상 신청, 언제까지 받을 수 있을까? (1) 2025.02.09 다둥이 행복카드 혜택 및 사용법 (0) 2025.02.09 더 레이스 서울 21K 마라톤 대회 참가 전 확인사항 (0) 2025.02.09 경기도 맘튼튼 축산물 꾸러미 산모 지원 (1) 2025.02.08 세대분리 방법과 조건 전입신고 외 필요한 점 (2) 2025.02.07